Home | JKIIT Archives | About the JKIIT | E-SUBMISSON |
Sorry.
You are not permitted to access the full text of articles.
If you have any questions about permissions,
please contact the Society.
죄송합니다.
회원님은 논문 이용 권한이 없습니다.
권한 관련 문의는 학회로 부탁 드립니다.
[ Article ] |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 Vol. 18, No. 6, pp. 97-105 | |
Abbreviation: Journal of KIIT | |
ISSN: 1598-8619 (Print) 2093-7571 (Online) | |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20 | |
Received 21 May 2020 Revised 17 Jun 2020 Accepted 20 Jun 2020 | |
DOI: https://doi.org/10.14801/jkiit.2020.18.6.97 | |
상용 LTE망 기반의 무인항공기 관제용 무선통신시스템 구현 | |
엄성용*
; 김윤호**
| |
*목원대학교 일반대학원 IT공학과 박사 | |
**목원대학교 융합컴퓨터∙미디어학부 교수(교신저자) | |
Implementa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Controlling Unmanned Aircraft Based on Commercial LTE Network | |
Soung-Young Om*
; Yoon-Ho Kim**
| |
Correspondence to : Yoon-Ho Kim Division of Convergence Computer @ Media, Mokwon University, 88, Doanbuk-ro Seo-gu, Daejeon, 35349, Korea Tel.: +82-42-829-7633, Email: yhkim@mokwon.ac.kr | |
본 연구에서는 상용 이동통신망 기반의 저고도 무인항공기 관제를 위하여 실제 비행 공역에서 통신 품질 측정을 위한 무선통신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먼저, 통신품질 측정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통신 품질 파라메터와 3차원 공간 위치를 정합하기 위하여 수집되는 각 정보를 정의하였다. 무선 통신 환경은 기지국의 밀도에 따라 단일기지국 환경과 저밀도 복수기지국 및 고밀도 복수 기지국 환경으로 구별하여 실증 실험을 수행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시스템을 드론에 탑재하여 기존에 설치된 이동통신사 3G/4G (LTE) 기지국과의 통신 연결성 검증을 위한 현장 실험을 수행하였고,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용 이동통신망의 사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In this study, for control of low-altitude unmanned aerial vehicles based on commercial mobile network, radio communication systems were designed and implemented to measure communication quality in actual flight airspace. First, the communication quality measurement system was developed and each information collected was defined to match the communication quality parameters with the three-dimensional space location. The communication quality experiment was carried out by distinguishing between single base station environment and low density multiple base station and high density multiple base station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density of base station. Finally, a developed system was mounted on a drone to conduct field experiments to verify communication connectivity with the existing installed 3G/4G (LTE) base station, and analyzed the possibility of commercial mobile network using measured data.
Keywords: communication quality, 3G/4G LTE, drone, low-density multiple base station, quality parameters |
최근 들어, 무인항공기의 기술발전에 따라 교통, 물류, 구조, 통신, 농업 등 민간 분야 수요 증가에 따라 활용분야가 확대되고 있으며 다양한 시범사업 형식으로 상용 이동통신망 즉 3G/4G(LTE) 통신망을 무인기 통신시스템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증가되고 있다. 상용 이동통신망을 무인항공기 관제용 통신망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 가장 중요한 검증 요소로 3차원 공간에서의 통신품질을 분석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용 이동통신 인프라는 지상용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통신을 목적으로 구축 및 최적화 되어있어 일정 고도 이상을 비행하는 무인기와의 통신 시스템으로 실제 활용 가능성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저고도 무인비행 장치의 운영 허용 고도 150m까지의 공역에서 기존 설치된 이동통신사의 3G/4G(LTE) 기지국과의 무인기와의 통신 연결성을 실증 실험을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실증 실험을 위하여 이동통신사 망인증이 완료된 LTE모뎀 장치를 사용하여 통신품질 및 연결성 데이터 수집시스템을 개발하였고, 자동비행이 가능한 드론시스템에 탑재하여 실제 공역의 데이터 수집을 수행하였다.
전송속도와 접속지연 시간은 무인 이동체의 원격관제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되며 5G에서는 기존 이동통신망(4G)에 비해 수십배 개선된 통신환경이 제공되고 있고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1].
고장 및 비상상황 대응 관련하여 LTE 인프라(이동 통신사 기지국 등)를 이용하여 GPS 모듈 고장이나 짙은 안개 등으로 GPS 신호를 잃어버리는 등과 같은 경우에 OTDoA 방식과 기지국 Neighbor Cell 에 대한 Cell Search 방식을 통해 최 인근 기지국으로 이동을 제안하는 연구를 시도하였다[2][3]. 드론의 원격관제 관련하여서 LTE 통신 모듈을 탑재한 다수의 드론 및 원격지의 드론을 종합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분석하는 시스템을 설계하였으며, 양방향 통신 기반으로 상호 인증 등 보안성을 제공하고 30대 이상의 다수 드론이 동시에 운용될 때 드론에서 생성되는 비행 데이터를 기반으로 드론의 이동을 모니터링하며 데이터수집 및 분석이 가능 하도록 시스템을 개발하였다[4]-[6].
또한 LTE망을 이용하여 WLAN 환경을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 구성방법을 제시함으로써 기존 WLAN 통신을 이용하던 드론에 LTE 통신을 접목하여 실시간 영상을 지원하는 시스템 구축 방안을 모색 하였다[7]. 원격지 드론의 운영에 관련하여서는 LTE망을 통한 비행조종이 시도된 바, 원격지에 위치한 드론을 조종자가 50msec 시간지연으로 실시간 고도와 위치, 자세를 제어하고 영상과 모션 정보는 실시간으로 전송되도록 구현 하는 방법과[8], 안정된 통신링크 보장과 입출력 장치의 수정 및 확장을 위한 FPGA 기반의 통신 제어기 설계[9]와 LTE통신 인프라를 무인 항공기의 측위 시스템으로 활용하는 연구도 진행되었다[10].
통신품질 및 연결성 측정시스템은 무인기(드론)에 탑재되어 통신 및 비행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개발이 되었으며, 그림 1과 같이 크게 LTE모뎀 부분과 마이크로 콘트롤러 부분으로 구성된다. 마이크로 콘트롤러는 다시 GPS와 고도센서의 두 부분으로 구성하였다[9].
LTE모뎀 부분은 Qualcomm사의 MDM0X07 Platform을 채용한 AD Telecom사의 AMT5710 모듈을 채택하였다. 모듈의 사양은 표 1과 같다.
Function | Feature | ||
---|---|---|---|
System | Model | AMT5710 | |
Form factor | - 5(850MHz)/8(900MHz) 소형 외장형 모델(KT) - WCDMA Band 1(2100MHz) 소형 외장형 모뎀(SK/KT) - Data Rate(Cat4): 150Mbps DL / 50 Mbps UL |
||
Network | LTE | Band 5 / 8 | |
WCDMA | Band 1 | ||
SPEC. | Main chipset | Basebane (AML571) | MDM9207 |
External interface | Memory | 2Gb / 2Gb | |
UART×2EA | RXD, TXD (2 Port) | ||
USB 2.0 | 1Port | ||
USIM | Internal micro USIM Support | ||
Antenna | Interna, ExternalANT(Option) | ||
GPS | TBD | ||
Power | 5~24V / 1A(RJ45 Port) / 5V(USB Port) | ||
SIZE | 50mm× 66mm×13.9mm |
마이크로 콘트롤러 부분은 국산 미니 PC ‘Odroid’ 제품에 Linux OS(우분투)를 포팅하였으며 고도를 측정하기 위한 기압모듈과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GPS모듈을 결합하여 제작하였다. 마이크로 콘트롤러 부분의 S/W 구성은 그림 2와 같다.
제작된 통신측정 모듈은 그림 3과 같이 자동비행 드론시스템 하단에 지상 기지국방향으로 안테나가 보이도록 탑재하여 설치하고 측정을 진행하도록 하였다.
측정을 위해 제작된 드론은 탑재 중량이 1Kg이상이며 GPS기반 자동비행이 가능하고 10m/Sec이상의 내풍성을 갖도록 제작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통신 품질 및 연결성 측정실험이 가능한 공역을 검토 하였는 바, 영월 시범비행 사이트(영월군 영월읍 덕포리 899번지, 영월군 주천면 주천리 1397-3번지, 영월군 영월읍 삼옥리 892-2)와 경기도 이포보 고수부지(여주시 금사면 외평리 482)를 선정하였다. 영월 공역은 이동통신사 기지국간 간격이 조밀한 복수기지국 특성을 측정하기에 유리하며 이포보 공역은 단일 기지국 및 저밀도 복수 기지국 환경 시험비행에 유리한 조건이 제공된다.
비행중에 측정되는 통신품질 파라메터와 3차원공간 위치를 매칭하기 위해 수집하는 정보는 다음과 같다.
• LAT : 비행 중의 위치 정보 데이터 중 하나로 위도(Latitude) 정보
• LON : 비행 중의 기체의 위치 정보 데이터 중 하나로 경도(Longitude) 정보
• ALT : 비행 중의 기체의 고도(Altitude) 정보 데이터(LTE 측정 모뎀과 연동된 GPS 고도데이터)
• ALT(Re) : 비행 중 기체의 고도 정보 데이터(비행제어컴퓨터와 연동된 GPS 고도데이터)
• HEADING : 비행 중 기체의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데이터(비행 중 안테나의 방향을 추정할 수 있음)
또한, 실험에서 측정하는 통신품질 파라메타는 다음과 같다.
•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 기지국은 PCI(PhyCellID) 별로 상이한 (mod3) Reference Signal을 송출
- Reference Signal이 기준점이 되어 단말기는 RS가 수신된 파워를 측정
- 즉, 단말기가 접속되어있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출되는 RS를 수신하는 값
- RSRP를 통해 기지국과의 거리(Pathloss), 단말기 출력 등을 조절 하는데 사용
• RSRQ(Reference Signal Receive Quality)
- 수신되는 RSSI와 RSRP가 갖는 상대적인 Quality으로 계산됨
- RSRQ=(NxRSRP)/(RSSI)
• RSSI(Reference Signal Strength Indicator)
- 서비스 채널에 수신되는 모든 신호 세기의 합
- 내 기지국 신호+이웃 기지국 신호+노이즈 +... 등
•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접속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신호 세기와 Interference+Noise의 상대값을 의미.
• DIFF(DIFFerence time between UDP packet)
- 지상 관제시스템에 수신되는 UDP 패킷 간 시간 차 (0.817 Sec로 송신주기 설정)
- 무인기 통신 장치와 지상 관제시스템 간 전송 안정성 평가에 사용
측정 데이터는 측정을 위한 통신 장치가 접속하는 기지국의 Cell ID, PCI(Phy-Cell-ID)와 함께 수집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행 중 수집한 여러 파라메터 정보 중에서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값을 사용하여 통신품질을 결정하였다. RSRP값의 내용에 따라 해당 3차원 위치에서의 통신 품질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강전계 : >=-80(dBm)
- 중전계 : -80(dBm) ~ -90(dBm)
- 약전계 : -90(dBm) ~ -110(dBm)
일반적으로 ‘강전계’와 ‘중전계’에서는 통신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 통신의 ‘연결성’ 측정은 통신 응답 속도로 정의하며 msec 단위로 측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무인기가 저고도 상공에서 운행을 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무선 통신 환경을 기지국(BRS, Base Radio Station)의 밀도에 따라 ‘단일 기지국환경’, ‘저밀도 복수 기지국 환경’ 및 ‘고밀도 복수 기지국 환경’으로 나누어 실증시험을 진행하였다.
단일 기지국 환경에서의 통신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비행 계획은 그림 4와 같다.
데이터 측정 계획에 따라 단일 기지국 환경에서의 데이터 수집 결과를 요약하면 표 2와 같으며 전계강도가 약한 공역은 약 10% 이하 이며 통신장애공역은 없었다.
Altitude | 30m | 60m | 90m | 120m | 150m | 180m | 210m | |
---|---|---|---|---|---|---|---|---|
BRS PCI | 26 | |||||||
BRS Cell ID | alec05 | |||||||
DIFF average value(sec) | 0.8175 | 0.8170 | 0.8170 | 0.8175 | 0.8170 | 0.8170 | 0.8175 | |
RSRP(dBm) | Max. | -60 | -67 | -61 | -63 | -62 | -61 | -63 |
Min. | -92 | -94 | -93 | -88 | -92 | -93 | -94 | |
RSRQ(dB) | Max. | -7 | -6 | -7 | -7 | -7 | -7 | -6 |
Min. | -12 | -13 | -14 | -13 | -13 | -17 | -17 | |
RSSI(dBm) | Max. | -32 | -37 | -33 | -35 | -36 | -36 | -34 |
Min. | -68 | -64 | -67 | -59 | -55 | -54 | -57 | |
SINR(dB) | Max. | 30 | 29.8 | 30 | 30 | 29.4 | 30 | 30 |
Min. | -3.4 | 0.4 | -2.4 | -2 | -4.2 | -7.2 | -4.8 | |
Com. quality | High/Medium | 100% | 92% | 94% | 100% | 90% | 88% | 96% |
Low | - | 8% | 6% | - | 10% | 12% | 4% |
그림 7, 그림 8은 수집된 데이터에서 일부 데이터를(30m, 210m고도) 3차원 그림으로 시각화한 것이다. 그림에서 표시된 원은 공간좌표에서의 측정 위치이며 원의 크기는 RSRP파라메터의 강도를 의미한다.
이포보 공역에서 수행한 데이터 측정 계획에 따라 저밀도 복수 기지국 환경에서의 데이터 수집 결과를 요약하면 표 3과 같다.
Altitude | 30 m | 60 m | 90 m | 120 m | 150 m | 180 m | 210 m | |
---|---|---|---|---|---|---|---|---|
Connection BRS PCI (Cell ID) |
26(alec05) | ○ | ○ | ○ | ○ | ○ | ○ | ○ |
4(66cd11) | ○ | ○ | ○ | ○ | ○ | ○ | ○ | |
31(a1ec06) | ○ | ○ | ○ | ○ | ○ | |||
340(a1e502) | ○ | ○ | ○ | ○ | ○ | ○ | ○ | |
161(a1e510) | ○ | |||||||
425(66c110) | ○ | ○ | ○ | |||||
DIFF average value(sec) | 0.8175 | 0.8170 | 0.8170 | 0.8175 | 0.8170 | 0.8170 | 0.8175 | |
RSRP(dBm) | Max. | -60 | -68 | -61 | -63 | -62 | -64 | -66 |
Min. | -92 | -91 | -93 | -90 | -92 | -97 | -93 | |
RSRQ(dB) | Max. | -7 | -6 | -8 | -8 | -7 | -7 | -7 |
Min. | -12 | -11 | -14 | -13 | -12 | -13 | -12 | |
RSSI(dBm) | Max. | -33 | -37 | -36 | -36 | -36 | -36 | -43 |
Min. | -60 | -57 | -59 | -59 | -55 | -55 | -57 | |
SINR(dB) | Max. | 30 | 29.8 | 28.8 | 29.8 | 29 | 30 | 26.6 |
Min. | -3.4 | 0.4 | -3.2 | -3.4 | -5.8 | -7.2 | -4.8 | |
Quality result |
Strength of EMF | high-medium | high-medium | high-medium | high-medium | high-medium | high-medium | high-medium |
No. of hand off | 24 | 12 | 44 | 18 | 27 | 27 | 23 | |
Delay(Ave, msec) | 28 | 27 | 29 | 27 | 28 | 29 | 28 |
영월지역의 시험공역에서 데이터 측정 계획에 따라 고밀도 복수 기지국 환경에서의 데이터 수집 결과는 표 4와 같다.
Altitude | 30m | 60m | 90m | 120m | 150m | 180m | 210m | |
---|---|---|---|---|---|---|---|---|
Connection BRS PCI (Cell ID) |
22(881f01) | ○ | ○ | ○ | ○ | ○ | ○ | |
54(882303) | ○ | ○ | ○ | ○ | ○ | ○ | ||
81(882205) | ○ | ○ | ||||||
90(88b401) | ○ | ○ | ○ | |||||
103(8a9c18) | ○ | ○ | ○ | ○ | ||||
120(882302) | ○ | ○ | ○ | ○ | ○ | ○ | ||
221(882203) | ○ | |||||||
223(896505) | ○ | ○ | ○ | ○ | ||||
239(881f03) | ○ | ○ | ○ | ○ | ||||
268(882201) | ○ | ○ | ○ | |||||
308(882106) | ○ | ○ | ○ | ○ | ○ | |||
313(896601) | ○ | ○ | ○ | ○ | ○ | ○ | ||
341(88b505) | ○ | ○ | ○ | |||||
363(896503) | ○ | ○ | ○ | ○ | ○ | ○ | ||
443(896602) | ○ | ○ | ○ | ○ | ○ | ○ | ||
476(8a9e16) | ○ | ○ | ○ | ○ | ○ | |||
483(8a9e15) | ○ | ○ | ○ | |||||
DIFF average value(sec) | 0.8173 | 0.8176 | 0.8176 | 0.8169 | 0.8170 | 0.8211 | ||
RSRP (dBm) |
Max. | -77 | -68 | -80 | -80 | -80 | -83 | |
Min. | -103 | -93 | -102 | -102 | -101 | -102 | ||
RSRQ (dB) |
Max. | -9 | -7 | -8 | -8 | -10 | -10 | |
Min. | -16 | -16 | -15 | -18 | -16 | -15 | ||
RSSI (dBm) |
Max. | -45 | -45 | -46 | -48 | -51 | -50 | |
Min. | -75 | -67 | -72 | -71 | -70 | -73 | ||
SINR (dB) |
Max. | 16.2 | 16.6 | 17 | 14.6 | 13.4 | 14.6 | |
Min. | -7.2 | -6.4 | -6.4 | -9.2 | -6.2 | -7 | ||
Quality result | Strength of EMF | high-medium | high-medium | high-medium | hi.-me.-low | hi.-me.-low | hi.-me.-low | |
No. of hand off | 80 | 60 | 97 | 110 | 122 | 104 | ||
Delay(Ave, msec) | 31 | 30 | 32 | 39 | 40 | 39 |
그림 11, 12는 수집된 데이터에서 일부 데이터를(60m, 210m고도) 3차원 그림으로 시각화 한 것이다. 그림에서 표시된 원은 공간좌표에서의 측정 위치이며 원의 크기는 RSRP파라메터의 강도를 의미하며 컬러는 접속 기지국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지상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위해 구축되어있는 이동통신사의 인프라를 무인 항공기(저고도 초경량 비행장치)의 통신 시스템으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저고도 무인비행장치의 운영 허용 고도(150m)까지의 공역에서 기존 설치된 이동통신사의 3G/4G(LTE) 기지국과의 통신 품질 및 연결성을 실증 실험을 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 실험을 위해 Qualcomm 사의 MDM0X07 Platform을 채용한 4G(LTE) 모뎀 모듈을 사용하여 통신 품질 측정시스템을 개발하였고, 자율비행이 가능한 헥사 멀티로터형 드론 시스템을 제작하여 기체의 하부에 탑재하였으며 자동비행 기능을 통해 측정 공역의 고도에 따른 통신 품질 및 연결성 실험을 추진하였다. 실험 방법은 현재 구축되어 사용중인 이동통신망(Kt) 기지국을 대상으로 3가지 통신환경 모델로 분류하여 실험하였다. 첫 번째로 ‘단일 기지국 환경’의 통신특성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였다. 두 번째로는 무인항공기가 복수 기지국 상공을 비행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저밀도 기지국 환경’의 데이터를 수집분석 하였으며, 세 번째는 ‘고밀도 기지국 환경’에서의 통신 품질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분석된 결과를 살펴보면, 저고도 무인 항공기(드론)의 공역에서는 통신에 필요한 전계강도가 대부분 강전계(>=-80dBm) 및 중전계(-80 ~ -90dBm)를 유지하였으며 약 10% 미만이 약전계(-90 ~ -110dBm)를 나타냈으나 통신 데이터 손실은 없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만, 비행고도가 높아지면서 드론의 통신 장치에서 확보되는 LOS(Line Of Sight) 기지국이 늘어나 ‘기지국 핸드오버’가 빈번하게 발생은 되었으며(최대 17개 기지국), 이로 인하여 수십 msec수준의 전송지연이 더 발생 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현재 지상용 통신단말기 서비스를 위해 구축된 이동통신사의 3G/4G(LTE) 인프라(기지국)는 150m이하 3차원 공역을 사용하는 저고도 무인 항공기의 관제를 위한 무선통신시스템 구축용으로 사용할 경우, 우려했던 통신의 연결성 및 지연성 문제는 발견되지 않았음을 현장 실증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1. | H. W. Kim et al., "5G and unmanned Vehicle technology trends and future prospects",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 Sciences, Vol. 34, No. 7, pp. 54-60, Jun. 2017. |
2. | H. H. Jin, J. H. Lee, C. H. Oh, and D. S. Eom, "A study on the transport to the nearest base station through the drone equipped with the LTE modem and the USIM", Proceedings of Symposium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Vol. 2016, No. 6, pp. 1521-1522, 2016. |
3. | H. H. Jin, "A study on optimal path of LTE network-based drones", Master’s thesis, Korea Univ. Dec. 2016. |
4. | S. H. Han, J. U. Han, and S. T. Moon, "Design of Multiple Drones Integrated Operation and Analysis System Supporting BVLOS",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pp. 526-527, Apr. 2019. |
5. | J. Y. Park, S. J. Oh, and D. G. Le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Ground Control System for Heterogeneous Multiple UAVs using 3-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and LTE", KSAS Spring Conf., pp. 491-492, Apr. 2017. |
6. | H. H. Jeong, J. H. Lee, and S. J. Park "A Study on Data Acquisition in the Invisible Zone of UAV through LTE Remote Control",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35, No. 6-1, pp. 987-997, 2019. |
7. | A. Y. Kim, J. K. Ryu, and W. Kim, "LTE/WLAN Communication Supporting System for Drone Communication",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Daejeon Korea, pp. 15-17, Jun. 2019. |
8. | B. H. Kang, "Real-time Tele-operated Drone System with LTE Communication",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Vol. 19, No. 6, pp. 35-40, Dec. 2019. |
9. | K. H. Oh,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ata terminal controller for UAV using FPGA", KSAS, Vol. 40, No. 5, pp. 454-460, May 2012. |
10. | H. L. Lee, T. W. Kang, and J. W. Seo, "Safety Distance Visualization Tool for LTE-Based UAV Positioning in Urban Areas", J. Adv. Navig. Technol. Vol. 23, No. 5, pp. 408-414, Oct. 2019. |
1985년 2월 : 청주대학교 전자공학과(공학사)
1988년 2월 : 청주대학교 전자공학과(공학석사)
2012년 2월 :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박사수료)
2015년 2월 :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항공우주공학과(박사수료)
2020년 6월 현재 : 목원대학교, 일반대학원, IT공학과 박사(재학중)
2016년 ~ 현재 : (주)블루젠드론 대표이사/연구소장
관심분야 : 임베디드 시스템, 무인기 비행제어 시스템, 무인 이동체 통신 시스템/단말기
1992년 6월 ~ 현재 : 목원대학교 융합컴퓨터·미디어학부 정교수, 입학취업처장, 공과대학장, 교학부총장.
2008년 ~ 현재 : ISO/TC 292 (security & resilience) Korea Delegate.
2012년 ~ 2014년 : 사회안전학회 회장
2017년 ~ 2018년 : 한국정보기술학회 회장
관심분야 : 영상처리, 컴퓨터비전, 퍼지시스템응용, ICT 기반 재난안전망 설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