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Current Issue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 Vol. 22 , No. 3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 Vol. 21, No. 2, pp. 137-143
Abbreviation: Journal of KIIT
ISSN: 1598-8619 (Print) 2093-7571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28 Feb 2023
Received 12 Dec 2022 Revised 11 Jan 2023 Accepted 14 Jan 2023
DOI: https://doi.org/10.14801/jkiit.2023.21.2.137

컴퓨터 비전을 활용한 분체 안식각 측정 기술 개발
손권중*
*홍익대학교 기계정보공학과 부교수

Development of Angle of Repose Measurement Technique for System of Particles using Computer Vision
Kwon Joong Son*
Correspondence to : Kwon Joong Son Dept. of Mechanical and Design Engineering, Hongik University 2639, Sejong-ro, Jochiwon-eup, Sejong 30016, Republic of Korea Tel.: +82-44-860-2083, Email: kjson@hongik.ac.kr

Funding Information ▼

초록

안식각 측정 시험은 입자성 재료의 유동 특성과 밀접히 관련된 입자 간 마찰 계수를 간접적으로 추정하는 데 널리 활용된다. 최근에는 분도기나 2차원 스테이지형 자와 같은 접촉식 도구를 이용하지 않는 비접촉식 이미지 분석을 통한 안식각 측정 기술 개발이 활발하다. 본 논문은 분체 더미의 이미지로부터 안식각을 정확히 계산할 수 있는 비전 시스템 개발을 소개한다. 분체 더미를 참조 도형과 함께 촬영하여 이미지의 원근법 및 회전각 보정에 활용하였다. 전체 이미지 중에서 분체 더미 형상만을 추출하여 관심 영역을 지정하고 경사면의 픽셀 위치 데이터를 선형 회귀법으로 분석하여 안식각을 계산하였다. 두 종류의 분체 표본을 대상으로 비전 기반 측정 시스템을 시험한 결과 측정 결과도 매우 정확할 뿐만 아니라 측정 편의성도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The angle of repose test is widely used to estimate the inter-particular friction coefficient relevant to the flow characteristic of granular materials. Recently, the angle of repose measurement technology based on image processing without using traditional tools like a protractor or a stage ruler has been actively developed. This paper introduces a vision system that can precisely measure the angle of repose from the pile image. In this process, a reference figure was used for the image calibration to correct perspective and rotation. The proposed vision system can filter the image to designate the region of interest, extract the position data for the pixels on the slope, and to compute the angle of repose by linear regression fitting. The vision-based measurement system yielded very accurate results for two types of samples and also improved the measurement convenience.


Keywords: computer vision, angle of repose, vision-based sensing, powder property characterization, computer graphics

Ⅰ. 서 론

제약, 신소재, 식품, 건설 분야 등 여러 분야에서 핵심 원재료로써 분말 또는 분체 형태의 입자성 재료가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이에 입자성 재료의 제조, 운송, 보관, 교반, 분리와 같은 분체 공정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1]. 분체 공정의 설계 및 체계적인 운용·관리를 위해서는 소재의 유동성과 관련된 미끄럼마찰 계수, 구름마찰 계수, 표면 응집 에너지와 같은 분체학적 특성을 정량적으로 파악해야 한다[2]. 입자성 재료는 일반적으로 크기가 작고 형상도 불규칙하므로 입자 간 접촉 마찰력이나 응집력의 직접 측정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개별 입자 수준이 아닌 벌크 단위에서 재료의 성질을 측정하여 개별 입자 간 접촉 인자를 역추산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3]. 벌크 입자 실험법 중에서 분체 더미의 경사각인 안식각 측정법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4]. 안식각으로부터 입자 간 마찰 계수를 간접적으로 추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통적인 안식각 측정법으로는 분도기로 분체의 경사각을 직접 측정하거나 최고점 높이를 계측한 경사면의 기울기에 역 탄젠트를 취하여 안식각을 계산하는 방법이 대표적이다[4]. 하지만 이와 같은 측정법은 인적 오류(Human error)로 인한 오차가 작지 않아 이를 극복하기 위해 분체 형상의 2D 이미지[5]-[7] 또는 3D 토폴로지 맵[8]-[10]의 픽셀 데이터를 분석하여 안식각을 도출하는 방법이 최근에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3D 기법은 3차원 정밀 스캐너와 같은 특수 촬영 장비가 필요하므로 2D 기법이 측정 편의성과 보급성이 더 높다. 2D 안식각 측정의 기본 원리는 분체 이미지로부터 배경과 분체를 분리한 다음 분체 더미의 경사면을 구성하는 픽셀의 위치 데이터를 선형 회귀 분석하여 기울기와 안식각을 계산하는 것이다[5][6]. 하지만 기존 2D 안식각 측정 연구 중에서 이미지 자체의 수평 불량이나 원근법 등에 대한 보정이나 선형 회귀 시 오차가 큰 데이터의 필터링을 적용한 사례는 찾기 힘들다.

본 논문은 분체 이미지로부터 안식각을 계산할 수 있는 컴퓨터 비전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안식각 예측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 분체 더미 이미지의 원근법 및 회전각을 보정하였고 선형 회귀 분석 시 데이터 필터링 기법을 적용하였다.


Ⅱ. 비전 기반 안식각 측정 알고리즘
2.1 이미지 프로세싱

그림 1은 컴퓨터 비전 처리와 선형 회귀 분석을 통해 분체 이미지로부터 안식각을 산출하는 프로그램의 순서도를 보여준다.


Fig. 1. 
Flow chart for computer vision processing and angle of repose computation

선형 회귀 전까지 전반부의 비전 처리 과정은 총 8단계를 거친다. 첫째, 분체 샘플의 깔때기 유동을 통해 더미를 생성한 후 이미지를 촬영한다. 원근법 보정에 활용하기 위해 정사각형 참조 도형을 분체와 함께 촬영한다. 뚜렷한 색상 군집화 결과를 얻기 위해 분체와 대비가 큰 배경색을 선택하고 적절한 조명을 사용하여 빛 반사나 짙은 명암은 피한다.

둘째, 분체 이미지에 대해 원근법과 회전각을 바로잡는다. 이미지에 포함된 정사각형 참조 도형은 카메라의 기울기와 원근 효과로 인해 본래의 기하학적 특성을 잃고 일반 사각형처럼 촬영된다. 그림 2와 같이 사각형을 정사각형 원형으로 복원시키는 역 원근 변환을 구할 수 있다면 이 변환을 전체 이미지에 적용하여 분체의 왜곡된 형상을 보정할 수 있다[11]. 그림 2는 역 원근 변환을 적용하여 이미지를 보정한 예시를 나타낸다. 원본 이미지의 붉은색 사각형의 네 변이 수평 방향으로 정렬된 정사각형으로 변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 2. 
Concept diagram of inverse perspective transforms(top) and its example(bottom)

셋째, 분체 외에 배경이나 실험 장치를 분석 대상에서 최대한 배제하기 위해 1차 관심 영역(ROI, Region of Interest)을 지정한다.

넷째, k-평균 알고리즘 기반 데이터 군집화[11]를 수행하여 색상별로 영역을 나누고 분체 영역만을 선택적으로 추출한다.

다섯째, k-평균 군집화를 통해 분할된 이미지 대상으로 색상이 같은 영역의 외곽선(Contour)을 생성하고 생성된 외곽선 중 분체 더미에 해당하는 선만을 검출한다.

여섯째, 검출된 외곽선을 좌측 경사면과 우측 경사면으로 레이블링하고 각각의 이미지를 이진화하여 저장한다.

일곱째, 좌측 경사면과 우측 경사면에서 선형성이 높은 영역을 2차 관심 영역으로 지정한다.

여덟째, 이진화된 경사면의 이미지로부터 픽셀의 위치 데이터를 배열 형식으로 추출하여 이후 선형 회귀 분석용 데이터를 준비한다.

2.2 안식각 계산 알고리즘

그림 1의 하단 부에 나타낸 것처럼 컴퓨터 비전 처리를 통해 얻은 분체 더미의 좌·우 경사면 픽셀의 위치 정보로부터 다음과 같은 4단계를 거쳐 안식각을 계산한다. 첫째, 분체 더미 경사면의 위치 데이터에 대한 1차 선형 회귀 분석을 통해 직선의 방정식 형태의 데이터 추세선을 얻는다. 둘째, 선형 회귀로 얻은 추세선과 데이터의 오차가 특정 문턱값보다 큰 데이터를 제외하는 방식으로 필터링을 진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3사분위수(Third quartile)를 필터링 기준으로 채택하였다. 셋째, 필터링이 완료된 데이터에 대한 2차 선형 회귀 분석을 통해 경사면 추세선을 갱신한다. 마지막으로 갱신된 추세선 기울기의 절댓값에 역 탄젠트를 취하여 경사각을 계산한다. 이러한 4단계 분석 과정을 좌·우 경사면의 관심 영역에 동일하게 적용하여 얻은 경사각의 평균값을 안식각으로 산정한다.


Ⅲ. 비전 기반 안식각 측정 결과 및 분석
3.1 분체 더미 생성 실험

비전 기반 안식각 측정 실험 시행을 위해 상업용 색모래와 그림 3에 표시한 홍익대학교 4차산업혁명캠퍼스 드론시험장에서 직접 채취한 토양을 표본 재료로 선택하였다. 토양 샘플은 입자가 곱고 수분이 적은 건사이며 색모래는 입자가 상대적으로 굵고 붉게 염색된 건사다. 그림 4는 두 분체 표본의 50배율 현미경 사진이다. 토양은 입자의 입도 편차가 크게 관측되는 반면 색모래의 경우는 제조 공정 중에 입자 선별 과정을 거쳤기 때문에 입도가 균일하게 관찰된다.


Fig. 3. 
Soil collection site: Hongik university 4th Industrial revolution campus


Fig. 4. 
50x Microscopic image of soil(left) and colored sand(right)

그림 5는 분체 더미를 생성하기 위한 실험 장치 및 높이 계측을 통한 안식각 측정 모습을 보여준다. 실험 장치는 안식각 측정기(제조사: COPLEY, 모델명: BEP2)와 원근법 교정을 위한 정사각형 도형 표식으로 구성된다. 실험 장치는 촬영 부스 안에 설치하였고 비전 처리에 적합한 이미지를 얻기 위해 분체 샘플 색상과 대비되는 하늘색 계열 배경지와 빛 반사가 적은 조명을 사용하였다.


Fig. 5. 
Experimental setup for profile preparation(left) and height-based angle of repose measurement(right)

배출 레버를 닫은 상태에서 준비된 분체 표본을 깔때기 내부로 장입한 후 레버를 열어 입자를 아래쪽으로 배출시켜 분체 더미를 생성한다. 입자의 유동 불량이 발생할 경우 깔때기 내부에 설치한 트라이앵글 구조의 휘저음 막대를 회전시켜 분체 유동을 원활케 한다. 입자는 레버가 닫힐 때까지 깔때기 출구로부터 중력 방향으로 자유낙하 하여 지름이 100mm인 실린더형 플레이트 위에 쌓여 경사면을 지닌 더미를 생성한다. 분체 더미가 모든 방향에서 경사각이 일정하고 최대 높이를 갖는 점이 유일하게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더미 형상을 원뿔로 이상화할 수 있다. 원뿔형 더미의 바닥 면은 하단 플레이트와 같은 50mm의 반지름을 갖기 때문에 더미의 높이h[mm]를 측정하여 식 (1)을 이용하여 안식각 θ[deg]를 계산할 수 있다.

θ=180πarctanh50(1) 

높이 계측을 통한 경사각 측정 결과 채취 토양과 색모래가 각각 36.7°와 28.1°의 안식각을 갖는다.

그림 6은 촬영된 분체 더미 정면 이미지의 좌측 경사면에 추세선을 직접 그려 분도기로 안식각을 측정한 결과로써 채취 토양과 색모래가 각각 44°와 40°의 안식각을 갖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Fig. 6. 
Results of angle of repose measurement using approximate slope line

3.2 안식각 측정 결과 및 분석

분체 더미의 디지털 이미지에 대해 그림 1에 제시한 알고리즘 순서도를 따라 컴퓨터 비전 처리를 완료하고 선형 회귀 분석을 통해 안식각을 계산하였다. 이미지 처리 및 선형 회귀 분석을 위한 코드 스크립트는 Python 프로그래밍 환경에서 컴퓨터 비전 라이브러리인 OpenCV와 수치 계산 라이브러리인 NumPy, 그리고 데이터 분석 라이브러리인 Pandas를 이용하여 작성하였다.

그림 7은 두 종류의 분체 샘플 중에서 토양 더미에 대한 비전 기반 안식각 측정 과정의 단계별 처리 결과를 보여준다.


Fig. 7. 
Step-by-step results of vison-based angle of repose measurement

원본 이미지인 그림 7(a)에 역 원근 변환을 적용하여 그림 7(b)와 같은 보정 이미지를 얻은 후 그림 7(c)처럼 불필요한 배경 요소는 제거하고 분체 더미와 단일 색상의 배경지만 포함될 수 있도록 1차 관심 영역을 지정하였다.

토양과 배경지의 색상이 뚜렷이 대비되므로 k-평균 알고리즘 기반 군집화 단계에서 k=2로 설정함으로써 그림 7(d)와 같이 분체와 배경에 해당하는 두 영역으로 이미지를 분할하였다. 분할된 영역별 폐 외곽선을 그림 7(e)처럼 추출한 후 각 영역을 구분하기 위해 그림 7(f)와 같이 라벨링 및 이진화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림 7(g)는 추출된 분체 영역 중 좌측 경사면과 우측 경사면에서 선형성이 높은 픽셀을 각각 2차 관심 영역으로 지정한 결과를 보여준다. 그림 7(h)에 경사면의 픽셀 데이터와 1차 선형 회귀 분석을 수행한 후 얻은 추세선을 함께 표시하였다. 2차 관심 영역 내의 데이터 중에서 추세선과의 오차 절댓값을 기준으로 상위 25%에 대항하는 제3사분위수(Q3)를 구하고 그보다 오차가 큰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제거하였다. 그림 7(i)에서 오차가 Q3 미만인 데이터를 파란색으로 표시하였고 필터링된 픽셀은 붉은색으로 나타냈다. 그림 7(j)는 데이터 필터링 후 2차 선형 회귀 분석을 수행한 결과를 보여준다.

색모래 표본에 대해서도 토양과 같은 방식으로 이미지 처리 및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림 8은 초기 이미지, 색상 기반 군집화를 통한 영역 분할 결과, 그리고 2차 선형 회귀 분석 결과를 보여준다.


Fig. 8. 
Vision-based angle of repose measurement for colored sand sample

표 1에 두 종류의 분체 재료에 대한 2단계 선형 회귀 분석 결과를 정리하였다. 1차 선형 회귀 분석 후 오차의 제3사분위수를 문턱값으로 데이터를 필터링하고 2차 선형 회귀 분석을 수행한 결과 신뢰도 지표인 결정 계수(R2, Coefficient of determination)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able 1. 
Results of linear regressions
Sample Item 1st regression 2nd regression
Left Right Left Right
Soil Pixels 136 119 102 89
Slope 0.853 -0.832 0.856 -0.842
R2 0.9859 0.9938 0.9937 0.9977
Color sand Pixels 224 182 168 136
Slope 0.791 -0.738 0.794 -0.738
R2 0.9993 0.9971 0.9997 0.9984

비전 기반 안식각 측정 결과를 포함하여 추세선 및 높이 계측 기반 안식각 산정 결과를 표 2에 함께 정리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컴퓨터 비전 기반 분석법으로 구한 토양과 색모래의 안식각은 각각 40.3°와 37.4°로 측정되었다. 분체의 입도 편차가 큰 경우 입자 간 공극에 미세 입자가 침투하여 접촉 배위수와 단위 입자 당 마찰력을 증가시킨다[12]. 분체의 유동 저항성인 마찰력은 안식각과 양의 상관관계를 지니므로 상대적으로 입도 편차가 큰 토양이 색모래 보다 높은 안식각을 갖는다는 것을 그림 4로부터 예측할 수 있고 안식각 측정 결과도 이와 부합한다.

Table 2. 
Angle of repose measurement results
Sample Method AOR Accuracy
Soil Computer vision 40.3° Upper
Trend line & protractor 44.0° Lower
Height measurement 36.7° Middle
Color sand Computer vision 37.4° Upper
Trend line & protractor 40.0° Middle
Height measurement 28.1° Lower

원근법 교정과 데이터 필터링을 거친 비전 기반 안식각 측정법이 나머지 두 측정법에 비해 더 높은 신뢰도를 갖는다. 분체 이미지에 경사 추세선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원근법에 따른 오차나 인적 오류(Human error)가 발생할 수 있고 정상 부분이 완만한 분체 더미의 경우 높이 계측 시 안식각을 저평가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경사 추세선 방법이나 높이 계측 기반 안식각 분석법 정확도는 분체 표본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관찰되었다. 색모래의 경우 분체의 경사면 기울기가 정상 부근에서는 완만해지는 경향이 뚜렷이 나타나므로 원뿔 형상을 가정한 식 (1)로부터 계산한 안식각의 정확도는 매우 낮다. 대신 2차 관심 영역 기준으로 색모래의 경사면 선형성이 높아 경사 추세선으로부터 얻은 안식각이 높이 계측법보다는 신뢰도가 높다. 토양의 경우 색모래와 반대로 분체 더미의 상단 부분이 원뿔과 같이 뾰족하지만 2차 관심 영역 기준으로 경사면의 선형성은 높지 않아 높이 계측 기반 안식각 계산 결과가 경사 추세선 분석 결과보다 정확하다고 할 수 있다.


Ⅳ. 결론 및 향후 과제

본 논문에서는 입자성 재료의 안식각을 측정하기 위해 고가의 3D 스캔 장비 대신 비전 카메라를 이용한 적정 기술로써 2D 이미지의 원근법 보정과 데이터 필터링이 강화된 컴퓨터 비전 기반 측정 기술을 제시하고 검증 실험을 통해 측정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분체 더미 이미지에 대해 역 원근 변환, k-평균 알고리즘 기반 데이터 군집화, 경사면 외곽선 픽셀 위치 데이터 추출 등 비전 처리를 수행한 후 데이터 필터링을 수반한 2단계 선형 회귀 분석을 통해 안식각을 계산하였다. 채취 토양과 색모래를 대상으로 안식각 측정 시험을 시행한 결과 전통적인 안식각 측정법에 비해 계산 정확도뿐만 아니라 사용자 편의성도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선형 회귀 분석의 결정 계수는 99.8% 수준으로 분석 신뢰성이 매우 높게 평가되었다. 다만 제시한 기술은 분체 더미를 촬영한 후 저장한 이미지에 대해 사용자가 직접 원근법 보정 대상 선정과 관심 영역을 지정해야 하므로 실시간 비전 처리를 구현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객체 탐지(Objection detection)와 객체 인지(Objection recognition) 등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원근법 자체 보정과 관심 영역 자동 지정이 가능한 실시간 안식각 측정 기술 개발을 향후 과제로 고려할 수 있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9학년도 홍익대학교 학술연구진흥비(4차산업혁명캠퍼스 활용)의 지원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연구개발특구진행재단이 지원하는 2021년 과학벨트지원사업(No. 2021-DD-SB-0288)으로 수행된 연구결과임


References
1. H. Masuda, K. Higashitani, and H. Yoshida, "Powder Technology: Handling and Operations, Process Instrumentation, and Working Hazards", CRC Press, pp. 3-89, 2006.
2. P. G. Rognon, J. N. Roux, D. Wolf, M. Naaïm, and F. Chevoir, "Rheophysics of cohesive granular materials", Europyhsics Letters, Vol. 74, No. 4, pp. 644-650, May 2006.
3. T. Roessler and A. Katterfeld, "DEM parameter calibration of cohesive bulk materials using a simple angle of repose test", Particuology, Vol. 45, pp. 105-115, Aug. 2019.
4. H. M. B. A. Hashemi and O. S. B. A. Amoudi, "A review on the angle of repose of granular materials", Powder Technology, Vol. 330, pp. 397-417, May 2018.
5. P. Li, M. Ucgul, S. Lee, and C. Saunders, "A new approach for the automatic measurement of the angle of repose of granular materials with maximal least square using digital image processing", Computers and Electronics in Agriculture, Vol. 172, May 2020.
6. M. Ucgul, C. Saunders, P. Li, S. Lee, and J. M. A. Desbiolles, "Analyzing the mixing performance of a rotary spader us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nd discrete element modelling(DEM)", Computers and Electronics in Agriculture, Vol. 151, pp. 1-10, Aug. 2018.
7. J. Frączek, A. Złobecki, and J. Zemanek, "Assessment of angle of repose of granular plant material using computer image analysis", Journal of Food Engineering, Vol. 83, No. 1, Nov. 2007.
8. M. Klanfar, T. Korman, D. Domitrović, and V. Herceg, "Testing the novel method for angle of repose measurement based on area-weighted average slope of a triangular mesh", Powder Technology, Vol. 387, pp. 396-405, Jul. 2021.
9. A. Wójcik, P. Klapa, B. Mitka, and J. Sładek, "The use of the photogrammetric method for measurement of the repose angle of granular materials", Measurement, Vol. 115, pp. 19-26, Feb. 2018.
10. A. Wójcik, P. Klapa, B. Mitka, and I. Piech, "The use of TLS and UAV methods for measurement of the repose angle of granular materials in terrain conditions", Measurement, Vol. 146, pp. 780-791, Nov. 2019.
11. R. Szeliski, "Computer Vision: Algorithms and Applications", Springer Nature, 2022.
12. Y. Kudo, M. Yasuda, and S. Matsusaka, "Effect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on flowability of granulated lactose", Advanced Powder Technology, Vol. 31, No. 1, pp. 121-127, Jan. 2020.

저자소개
손 권 중 (Kwon Joong Son)

2003년 3월 : 포항공과대학교 기계공학과(공학사)

2005년 5월 : 카네기멜런대학교 기계공학과(공학석사)

2009년 5월 : 텍사스대학교오스틴 기계공학과(공학박사)

2010년 8월 ~ 2015년 4월 : 두바이 아메리칸대학교 기계공학과 부교수

2015년 9월 ~ 현재 : 홍익대학교 기계정보공학과 부교수

관심분야 : 컴퓨터 시뮬레이션, 머신비전, 전산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