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Current Issue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 Vol. 22 , No. 3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 Vol. 21, No. 2, pp. 103-110
Abbreviation: Journal of KIIT
ISSN: 1598-8619 (Print) 2093-7571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28 Feb 2023
Received 04 Jan 2023 Revised 06 Feb 2023 Accepted 09 Feb 2023
DOI: https://doi.org/10.14801/jkiit.2023.21.2.103

전파고도계 개발을 위한 평탄면의 산란계수 측정
임주영* ; 단스란 바야르사이칸* ; 알탄자야 에르덴수흐* ; 정호용** ; 안재형***
*충북대학교 전파통신공학 박사과정
**㈜네오세미텍 연구소장
***충북대학교 정보통신공학부 교수(교신저자)

Measurements of the Scattering Coefficients of Flat Sufaces for Radio Altimeter Developments
Joo-Young Lim* ; Dansran Bayarsaikhan* ; Altanzaya Erdenesukh* ; Ho Young Jung** ; Jae-Hyeong Ahn***
Correspondence to : Jae-Hyeong Ahn Dep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Tel.: +82-43-261-2483, Email: jhahn@cbnu.ac.kr

Funding Information ▼

초록

본 논문에서는 전파고도계 개발에 사용하기 위해 여러 가지 평탄면에서의 산란계수 측정결과를 제시하였다. 2x4 배열로 구성된 송신(Tx) 안테나와 수신(Rx) 안테나를 설계 제작하여 산란계수 측정에 사용하였다. 84cm 간격으로 배치된 Tx/Rx 안테나의 Tx 신호가 반사면에 입사된 후 Rx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전력비를 회로망분석기로 측정하였다. 측정된 송수신 전력비를 레이더 방정식에 대입하여 평탄면의 산란계수를 산출하였다. 수직입사, 수평편파 45° 경사입사, 수직편파 45° 경사 입사인 경우의 산란계수를 측정하였다. 수직입사의 경우 산란계수는 반사면의 종류에 따라 0.38부터 7.33의 값을 가지며 45° 경사입사의 경우에는 산란계수가 이보다 훨씬 작은 값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a measurement results of scattering coefficients for various flat surfaces in the use of radio altimeter developments. The transmit(Tx) and receive(Rx) antennas are designed and fabricated using a 2x4 microstrip patch array, which are then employed in scattering coefficient measurements. The Tx signal reflected from a surface illuminated by Tx/Rx antennas spaced at 84cm is received by the Rx antenna, and then the ratio of Rx power to Tx power is measured with a network analyzer. Scattering coefficients on the flat surfaces are evaluated by inserting the Rx/Tx power ratio into the radar equation. Scattering coefficients are measured for normal incidence, 45° oblique incidence with parallel polarization, and 45° oblique incidence with perpendicular polarization. Scattering coefficients with normal incidence ranges from 0.38 to 7.33 while 45° oblique incidence yields scattering coefficients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at of the normal incidence case.


Keywords: radio altimeter, scattering coefficient, instrumentation, electromagnetic wave

Ⅰ. 서 론

전파고도계는 레이더 원리를 기반으로 항공기와 지면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장치이다[1][2]. 전파고도계는 지면에 의한 전파가 반사 및 산란되는 현상을 이용한다[3]. 전파고도계는 크게 펄스형과 주파수 변조 연속파형(FM-CW, Frequency Modulated-Continuous Wave) 방식으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FM-CW형 고도계는 펄스 레이더 시스템에 비해 첨두 송신 전력이 낮고 간섭이 적으므로 항공기용 고도계로 널리 이용된다[4][5]. 최근 드론과 무인기 활용분야가 증가하면서 전파고도계의 응용이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6][7].

이와 같은 전파고도계의 운용 환경에 대한 다양한 전파 분석은 고도 측정 값의 정밀도를 높이는데 매우 중요하다[8]. 몇몇 학자들에 의해 마이크로파 대역에서 지면의 요철 효과 및 지면 각도 변화에 따른 산란계수의 변화[9], 지면의 표면 거칠기에 따른 산란파의 방향성을 분석한 결과[10] 등이 제시되었다. 또한 파도가 심한 바다 표면[11] 및 산속의 나무[12]에 의한 산란계수의 측정 결과가 제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항공기에 탑재되는 전파고도계의 유사한 운용 환경을 구성하여 다양한 평탄면에서의 산란계수를 제시하였다. 2개의 송수신 안테나와 회로망 분석기를 이용하여 평탄면 산란계수 측정 환경을 구성하였다. 송신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전파의 입사각 및 편파 종류에 따른 산란계수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서 실제 전파고도계 운영 환경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Ⅱ. 지면산란계수 측정
2.1 FM-CW 레이더용 송수신 안테나

FM-CW 레이더 방식의 전파고도계는 항공기가 착륙을 위해 지면으로 하강할 때 항공기의 밑면에 설치되어 지면과의 고도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전파고도계에서는 하나의 송수신 안테나를 사용하거나 bi-static 방식으로 2개의 송수신 안테나를 적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송수신 안테나를 하나로 사용할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로 인하여 수신기의 감도가 저하된다. 첫째, 송신신호가 이상적이지 않을 경우 반송파 주파수 외에도 근접 주파수 대역 신호(측대파 잡음)을 포함하게 된다. 안테나와 듀플렉서(쎠큘레이터, 방향성 결합기 등)로부터 반사되는 신호는 혼합기의 신호 포트로 입력되어 동일하게 취급된다. 이와 같은 송신신호의 측대파 잡음은 혼합기 출력 잡음으로 검출되어 수신기의 감도를 저하시키게 된다.

둘째로, 안테나의 반사계수는 보통 -10dB에서 -20dB의 값을 가지므로 수신신호보다 훨씬 큰 신호가 계속하여 혼합기에 유입될 수 있다. 혼합기의 감도가 감소할 경우 원거리 지면으로부터 반사되는 미약한 신호가 검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전파 고도계에서는 흔히 bi-static 기반의 송수신 분리형 안테나가 이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전파고도계가 운용되는 환경을 보다 현실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송수신 분리형 안테나를 사용하였다.

C-대역(4.2-4.4GHz) 주파수 변조 방식의 전파고도계에서는 10-500 mW(10-27dBm)의 송신출력이 주로 이용되며 최대 이득 10dBi 전후의 송수신 안테나가 사용된다. 안테나의 이득이 너무 높으면 항공기의 pitch 방향과 roll 방향 움직임에 따라 지면 방향으로의 안테나 이득이 급속히 감소하게 되므로 높은 고도의 측정이 불가능하다. 반면에 안테나의 빔폭이 너무 넓어서 무지향성에 가까운 경우 항공기 아래의 지면과의 거리뿐 만 아니라 주변 야산과의 수평 거리도 함께 측정되므로 고도 측정의 신뢰성이 저하된다. 이와 같은 안테나의 요구 사양을 반영하여 그림 1과 같은 전파 고도계 안테나용 2x4 마이크로스트립 배열 안테나를 설계 제작하였다.


Fig. 1. 
2x4 microstrip array antenna

그림 1에 제시된 안테나는 전계면 방향으로 4개, 자계면 방향으로 2개 방사 소자를 갖는다. 전계면 방향에서의 부엽을 충분히 억제하기 위하여 각 소자의 간격은 중심에서는 0.45 파장, 양쪽에서는 0.5 파장으로 정하였다. 설계된 안테나의 부엽은 안테나 주변 구조물의 영향이 최소가 되도록 전계면 및 자계면 방향에서 각각 -18dB와 -20dB 이하가 되도록 설계하였다.

안테나의 설계 과정은 다음과 같다. 방사소자는 충분한 임피던스 대역폭을 갖도록 전계면과 나란하게 2개의 긴 슬롯을 적용하였다. 자계면 방향의 2개 소자는 동위상으로 급전된다. 전체 안테나의 급전 회로망은 병렬 및 직렬 방식을 혼용하였다. 우선 동축선 프로브와 연결된 급전선로를 2로 분배하였다. 다음으로 분배된 선로는 개별적으로 2개의 2x1 배열 급전과 목표로 하는 부엽 준위를 만족시키기 위한 전력 분배 회로를 구성한다. 또한 각 방사소자에 급전되는 선로의 길이를 조정하여 모든 패치에 동일한 위상의 전파가 공급되게 하였다.

설계된 안테나가 항공기 배면에 배치되는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그림 2와 같이 회전 반경이 17.2cm인 원통 기둥에 표면 일체형으로 제작하였다. 2개 안테나의 전계면 방향이 평행하도록 배치한 후 2개 안테나 사이의 충분한 격리도를 얻기 위하여 자계면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떨어뜨렸다. 자계면 방향으로 배치할 경우 두 안테나 사이의 분리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2개 안테나 사이의 거리는 지면으로부터 반사되어 온 신호를 충분히 검출할 수 있도록 원거리 조건이 만족되는 84cm로 정하였다.


Fig. 2. 
Fabricated antenna

그림 3은 원통 기둥에 설치된 안테나의 전/자계면 이득 패턴 측정 결과이다. 그림의 가로 축은 제작된 안테나의 중심을 기점으로 전자계면에서의 각도를 표현한 것이다. 안테나의 최대 이득은 9.2dBi이고, 전계면 방향에서의 빔폭과 부엽 레벨은 각각 32.4°와 -26.1dB 이다. 자계면 패턴은 73.8°의 3dB 빔폭과 -23.6dB 이하의 부엽 특성을 갖는다.


Fig. 3. 
Gain patterns of the fabricated antenna

2.2 산란계수 측정환경 구성

그림 2의 송수신 안테나를 이용하여 다양한 반사면에서 산란계수를 측정하기 위한 환경을 구성하였다. 각 평탄면에서의 지면 산란계수는 기본 레이더 동작 개념으로부터 도출할 수 있다. 송수신 안테나가 분리된 bi-static 레이더에서 송수신 안테나 이득이 각각 GT, GR이고 송신 안테나에서 방사된 전자파가 임의 반사면을 거쳐 수신 안테나에 도달하는 총 길이가 R이라 할 경우 송신 전력과 수신 전력의 관계는 식 (1)과 같다[11].

PR=PTGTGR4π3R4λ2σ(1) 

여기서 σ는 반사면에서의 레이더 단면적으로 평탄면에 입사되는 전력밀도 Si와 반사면으로부터 산란되어 수신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전력밀도 Sr의 비로 주어진다.

σ=4πR2SrSi(2) 

식 (2)의 레이더 단면적은 식 (3)과 같이 안테나 조사 면적 A와 평탄면의 산란계수 σ0의 곱으로 표현된다.

σ=σ0A(3) 

안테나 조사 면적 A는 일정 높이 H에 위치한 안테나에서 3dB 빔폭이 커버하는 면적을 의미한다. 여기서 H는 송신 안테나와 조사된 면적의 중심까지 수직 거리이고 θ는 지면과 입사파가 이루는 수평각(Grazing angle), θEθH는 전계면 및 자계면에서의 3dB 빔폭이다.

A=πH2tanθE2tanθH2cscθ(4) 

송수신 안테나의 이득이 같고 이를 3dB 빔폭으로 표현하면 식 (5)와 같다. 이에 따라 식 (1)식 (6)과 같이 지면 산란계수 σ0의 표현 식으로 정리할 수 있다.

G4πθEθH(5) 
PR=PTGσ064πR/λ2(6) 

식 (6)의 지면 산란계수 σ0를 실험적 방법으로 얻기 위하여 그림 4와 같은 측정 환경을 구성하였다. 그림 4에서 측정 거리 H는 송신 안테나와 지면 사이의 수직거리이고 2개 송수신 안테나의 거리(D)는 84cm이다. 그림 4의 지면에 표시된 빗금 영역은 안테나 조사 면적으로 안테나의 3dB 빔폭에 의해 결정된다.


Fig. 4. 
Setup for scattering coefficient measurements

2개의 송수신 안테나는 RF 케이블(C1, C2)를 통해 회로망 분석기의 각 포트(P1, P2)와 연결된다. 전파가 조사된 면으로부터 산란되는 신호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하여 회로망 분석기와 연결된 2개의 케이블(C1, C2)의 전달계수는 사전에 측정하여 보상하였다. 식 (6)의 거리 R은 송신 안테나에서 지면까지의 거리 R1과 지면에서 반사된 전파가 수신 안테나에 도달되는 거리 R2의 합이다. 여기서 지면과 송신 안테나로부터 입사되는 경로가 이루는 각도 θi는 입사각이고 지면에서 반사되어 수신 안테나로 향하는 경로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 θr은 반사각이다.

2.3 평탄면에 따른 산란계수 측정

그림 4의 측정환경을 이용하여 수직입사하는 경우의 지면 산란계수를 측정하였다. 그림 5는 수직입사에 대한 측정 환경을 설명한 것이다. 송수신 안테나 거리를 간격 D만큼 이격시킨 후 반사면의 종류에 따라 송수신 안테나 간의 전달계수를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식 (6)PR/PT의 값을 측정된 전달계수로 대체한 후 지면 산란계수를 계산하였다.


Fig. 5. 
Setup for scattering coefficient measurements with normal incidence

그림 6의 콘크리트 면은 건물의 복도에서 수행되었다. 건물 내 복도에서 높이 H의 위치에 송수신 안테나를 수직으로 배치한 후 측정하였다. 그림 6(b)의 도체면은 크기 900 x 1,800 mm의 플라스틱 폼 위에 알루미늄 호일을 덮어서 구현하였다. 그 외 평탄면은 실제 측정 장소를 섭외한 후 주변의 전파 방해물을 충분히 제거하고 측정하였다. 또한 안테나 높이 H는 주변 환경뿐만 아니라 평탄면의 면적과 안테나의 3dB 빔폭을 고려하여 결정하였다.


Fig. 6. 
Scattering coefficient measurements

표 1은 수직입사의 경우 여러 평탄면에서 측정된 지면 산란계수의 값이다. 수직입사에 따른 지면 산란계수는 평탄면의 종류에 따라 0.38-7.33 범위에서 변화함을 알 수 있다. 도체 평면에서의 산란계수는 7.33으로 가장 높은 값을 갖는다. 실제 항공기가 이착륙하는 아스팔트에서의 산란계수는 6.05로 나타났다.

Table 1. 
Measured scattering coefficients with normal incidence
Flat surface Antenna height
H(m)
Measured transmission
coefficients S21(dB)
Ground scattering
coefficients
concrete floor 0.9 -41 2.32
conductor plane 0.9 -36 7.33
concrete wall 0.9 -46 0.73
window 0.9 -40 2.92
person 0.9 -46 0.73
asphalt 1.6 -41 6.05
mountain floor 1.6 -53 0.38
soil 1.6 -44 3.48

다음으로 그림 7과 같이 45°의 경사로 입사되는 전파에 의한 평탄면 산란계수를 측정하였다. 그림 7(a)는 안테나의 자계면 방향이 지면과 45° 경사를 이루면서 수평편파 성분의 전파가 지면에 입사되는 모습이다. 그림 7(b)는 안테나의 전계면 방향이 45° 경사 각도를 갖고 전파가 지면에 입사되는 모습이다. 이 경우 송신 안테나로부터 방사된 전기장과 지면이 서로 평행하므로 수직 편파가 입사된다. 그림 8은 실제 측정이 이루어지는 모습이다.


Fig. 7. 
Measurement setup for 45° oblique incidence


Fig. 8. 
Measurements of scattering coefficients with 45° oblique incidence

표 23은 45° 경사 입사되는 전파의 편파에 따라 측정된 산란계수이다. 수평편파를 갖고 45° 경사 입사된 경우는 0.081-2.87의 범위에서 산란계수가 형성되는 반면에 수직편파에서는 0.0046-1.42의 범위 값을 갖는다. 즉, 수직 편파가 입사되는 경우 산란계수가 낮음을 알 수 있다. 아스팔트 지면은 실제 항공기의 이착륙이 이루어지는 지면이다. 보다 정확한 산란계수의 값을 얻기 위하여 건물 옥상 안테나를 설치하고 차량 이동이 적은 시간대에 측정을 수행하였다.

Table 2. 
Measured scattering coefficients with 45° oblique incidence and parallel polarization
Flat surface Antenna height
H(m)
Measured transmission
coefficients S21(dB)
Ground scattering
coefficients
Concrete floor 0.9 -41 2.87
Conductor plane 0.9 -47 0.73
Concrete wall 0.9 -48 0.57
Window 0.9 -44 1.44
Person 0.9 -48 0.57
Asphalt 19.5 -70 1.42
Mountain floor 1.6 -61 0.081
Soil 1.6 -51 0.81
Stone 1.6 -52 0.64

Table 3. 
Measured scattering coefficients with 45° oblique incidence and perpendicular polarization
Flat surface Antenna Height
H(m)
Measured Transmission
coefficients S21(dB)
Ground scattering
coefficients
Concrete floor 0.9 -53 0.18
Conductor plane 0.9 -49 0.46
Concrete wall 0.9 -69 0.0046
Window 0.9 -46 0.91
Person 0.9 -59 0.046
Asphalt 19.5 -70 1.42
Mountain floor 1.6 -53 0.51
Soil 1.6 -60 0.10
Stone 1.6 -60 0.10


III.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실제 전파고도계 설계시 필요한 다양한 평탄면에서의 C-대역 산란계수 측정기법과 측정결과를 제시하였다. Bi-static 레이더 환경에서 송수신 안테나 사이의 전달계수와 지면 산란계수와의 관계식을 제시하였다. 84cm 간격으로 이격된 2개의 2x4 배열 안테나를 설계 제작하여 산란계수 측정에 사용하였다. 제작된 2개 안테나를 이용하여 여러 평탄면에서의 전달계수를 측정하고 이로부터 산란계수를 도출하였다.

다양한 반사면에서의 산란계수는 송신 안테나로부터 방사되는 전파가 수직입사, 각 편파별 45° 각도로 입사되는 경우에 대하여 산출되었다. 수직입사의 경우 산란계수는 0.38-7.33의 범위에서 얻었다. 45°의 각도를 갖고 경사 입사되는 경우에는 산란계수가 크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수평 편파의 입사에 비해 수직편파 입사가 보다 낮은 산란계수를 형성함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산란계수 측정 기법과 여러 가지 면에서의 산란계수 측정값은 C-대역 전파고도계 개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Acknowledgments

본 논문은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재원으로 지원을 받아 수행된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C3.0)의 연구결과입니다


References
1. G. M. Brooker, "Understanding millimetre wave FMCW radars", in 1st Int. Conf. Sensing Technology, pp. 152-157, Nov. 2005.
2. P. Kurdel, M. Češkovič, N. Gecejová, J. Labun, and J. Gamec, "The method of evaluation of radio altimeter methodological error in laboratory environment", Sensors, No. 22, No. 14, pp. 1-21, Jul. 2022.
3. W. H. Kim, "Desig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W-band radar distance meter", Journal of KIIT, Vol. 20, No. 8, pp. 107-112, Aug. 2022.
4. D. Brumbi, "Fundamentals of Radar Technology for Level Gauging", 4th Ed., Krohne Messtechnik GmbH & Co. KG, Jul. 2003.
5. M. Vidmar, "Design improves 4.3-GHz radio altimeter accuracy", Microwaves & RF, Jun. 2005.
6. B. H. Kang, "Real-time Tele-operated Drone System with LTE Communication", Journal of IIBC, Vol. 19, No. 6, pp. 35-40, Jan. 2019.
7. J. Chun, S. Yoon, and D. Kim, "Virtual Force(VF)-based Disaster Monitoring Network Using Multiple UAVs", Journal of IIBC, Vol. 16, No. 4, pp. 97-108, Jan. 2016.
8. G. Valenzuela, "Scattering of electromagnetic waves from a tilted slightly rough surfaces", Radio Science, Vol. 3, pp. 1057-1066, 1968.
9. M. W. Long, "Radar Reflective of Land and Sea", 3rd Ed., Boston, MA: Artech House, 2001.
10. E. S. Kasischke, Lecture Note: Lecture 11 - Imaging Radars 2, GEOG 498A/788M - Principles of Remote Sensing, Dept. Geography, U. Maryland College Park.
11. A. K. Fang and C. Zuffada, "Bistatic scattering from the sea surface at L-band", in IEEE 2000 International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Symposium, Honolulu, HI, USA, pp. 1015-1017, Jul. 2000.
12. C. Suer, D. J. Breton, C. E. Haedrich, and R. Long, "Bistatic scattering coefficients of a tree covered moutainside at L band", in 2021 USNC-URSI Radio Science Meeting, Honolulu, HI, USA, pp. 60-63, Aug. 2021.

저자소개
임 주 영 (Joo-Young Lim)

2015년 2월 : 충북대학교 전파통신공학(공학석사)

2018년 9월 ~ 현재 : 충북대학교 전파통신공학전공 박사과정

관심분야 : 안테나, 안테나 측정기술, 도파관, 레이돔

단스란 바야르사이 (Dansran Bayarsaikhan)

2021년 1월 : 몽골과학기술대학교 전자공학과(석사)

2021년 3월 ~ 현재 : 충북대학교 전파통신공학전공 박사과정

관심분야 : 안테나, 소프트웨어

알탄자야 에르덴수흐 (Altanzaya Erdenesukh)

2021년 1월 : 몽골과학기술대학교 전기공학과(공학사)

2021년 3월 ~ 현재 : 충북대학교 전파통신공학전공 박사과정

관심분야: 안테나, 안테나측정기술, RF

정 호 용 (Ho Young Jung)

2000년 2월 : 고려대학교 재료공학과(공학석사)

2011년 2월 : 고려대학교 신소재공학과 (공학박사)

2021년 5월 ~ 현재 : ㈜네오세미텍 연구소장

관심분야 : 전파, 신소재

안 재 형 (Jae-Hyeong Ahn)

1991년 8월 : 한국과학기술원 전기및 전자공학과(공학박사)

1987년 ~ 현재 : 충북대학교 정보통신공학부 교수

관심분야 : 영상처리 및 영상 정보 처리, 멀티미디어 제작 및 정보 제공, 인터넷 통신 및 프로그래밍